Skip to content
Panel Sole Distributor Co., Ltd.
(주) 패널총판
Call Support 031 403 8424 / 031 405 8425
Email Support khbkgs1004@naver.com
Location 안산시 단원구 광덕동로 71
  • 회사소개
    • 인사말
    • 경영이념
    • 회사연혁
    • 납품실적
    • 찾아오시는길
  • 제품소개
    • 샌드위치패널제품
    • 경질우레탄폼제품
    • 압출법보온판제품
    • 비드법보온판제품
    • 화스너 및 화스너건 제품
  • 제품자료실
    • 인증서
      • 단열재인증서
      • 샌드위치패널인증서
    • 성적서
      • 단열재성적서
      • 샌드위치패널성적서
      • 저방사단열재
  • 기술자료
    • PF단열재
    • 경질우레탄폼
    • 드라이비트
    • 비드법보온판
    • 샌드위치패널
      • 미네랄울
    • 압출법보온판
    • 에너지 스마트주택
    • 열반사 단열재
    • 외단열시스템
    • 층간차음재(완충재)
    • 패시브하우스
    • 화스너
  • 시공사례
    • 경질우레탄폼시공
    • 시공갤러리
  • 고객센터
    • 자주묻는질문
    • 고객게시판
    • 네이버블로그
    • 다음블로그
    • (주)패널총판
    • (주)패널테크

샌드위치패널(조립식판넬) 단열재별 성능(2)

Home > 기술자료 > 샌드위치패널 > 샌드위치패널(조립식판넬) 단열재별 성능(2)

샌드위치패널(조립식판넬) 단열재별 성능(2)

Posted on 2017년 5월 2일2017년 5월 1일 by khbkgs1004
0
  1. 열전도율

열전도율 값(λ)은 각 재료에 대해 특수한 상수 값입니다. 표면적이 1m2이고 두께가 1m인 재료의 내부 및 외부 표면의 온도차가 1Kelvin인 경우 열 흐름을 Watt(W)로 나타냅니다. 일반적인 단열재의 열전도율 값은 다음 표에 나와 있습니다. 낮은 열전도율 값은 높은 단열 성능을 의미하며, 낮은 단열 재료 두께로 필요한 단열 성능을 쉽게 달성할 수 있습니다.

모든 단열재의 열전도율 값은 온도에 따라 다릅니다. 그러나 이 관계는 일반적으로 직선형입니다. 재료의 두께가 계산에서 결정되며, 정상적인 적용에서 10℃ 온도는 기본으로 취해지며 열전도율 설계 값은 이 온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8.경질우레탄폼단열재 열전도율에 미치는 온도에 영향 [경질우레탄폼단열재 열전도율과 온도 상관관계]

 

최적의 단열재를 선택하면 초기 열 투과율 값은 매우 중요한 매개 변수이지만, 시간 경과에 따른 단열 성능의 감소, 특히 플라스틱 발포체의 노화된 재료의 단열 값을 고려해야합니다. 낮은 당열 값을 비교하고, 다목적 활용도 및 장기 성능을 고려할 때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PUR/PI)R 발포체가 최적의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발포체의 폐쇄된 셀 구조는 물에 대해 높은 내성을 갖지만, 미네랄울(암면, 그라스울)과 같은 무기 물질과 물의 접촉은 75% 단열 성능 감소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구분 PUR/PIR EPS XPS 페놀폼 미네랄울
열전도율(W/m.K) 0.022~0.028 0.034~0.037 0.025~0.028 0.022~0.028 0.034~0.040

9.단열재의 열성능

  1. 흡수율

단열재에서 요구되는 것은 직접적으로 물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열전도율 값은 모세관현상에 의해 간접적으로 젖어서 증가하지 않아야 합니다. 실제로 미네랄울(암면) 내의 섬유는 젖지 않습니다.

그러나 물과 접촉시 섬유 사이의 공기 간격이 채위지고 젖은 암면은 단열 작용을 수행할 수 없게 됩니다.

 

구분 PUR/PIR EPS XPS 페놀폼 미네랄울
흡수율(%) 2~5 0~5 0~0.5   2.5~10

 

  1. 밀도

생산 비용을 고려할 때 가장 낮은 밀도에서 최고의 성능을 목표로 하지만, 그러나 소비할 물질의 양은 감소할 수 있습니다. 특히 플라스틱 발포체의 밀도는 기계적 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반면에 고밀도 미네랄울로 제조된 샌드위치패널(조립식판넬)의 중량으로 인해 조립 작업과 지탱하는 구성에 대한 추가 하중이 건물에 발생합니다.

열전도율 계수는 시간과 관련이 없는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러한 요소의 예로 폐쇄 셀 비율, 샘플 두께, 더 긴 팽창 기간, 열전도 계수의 느린 변화, 셀 크기, 발포 재료 유형 및 기타 요인을 들 수 있습니다. 아래의 표는 밀도가 열전도율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줍니다.

10.열전도율과 밀도[열전도율과 밀도의 상관관계]

 

구분 PUR/PIR EPS XPS 페놀폼 미네랄울
밀도(kg/m3) 36~45 10~25 30~50 35~55 70~150

Tags: 단열재, 미네랄울판넬, 미네랄울패널, 밀도, 샌드위치판넬, 샌드위치패널, 열전도율, 조립식판넬, 조립식패널, 흡수율

Search

ARCHIVES

  • 2021년 1월 (21)
  • 2020년 12월 (27)
  • 2020년 11월 (23)
  • 2020년 10월 (27)
  • 2020년 9월 (20)
  • 2020년 8월 (8)
  • 2020년 7월 (20)
  • 2020년 6월 (17)
  • 2020년 5월 (20)
  • 2020년 4월 (20)
  • 2020년 3월 (25)
  • 2020년 2월 (15)
  • 2020년 1월 (13)
  • 2019년 12월 (15)
  • 2019년 11월 (22)
  • 2019년 10월 (32)
  • 2019년 9월 (20)
  • 2019년 8월 (26)
  • 2019년 7월 (31)
  • 2019년 6월 (30)
  • 2019년 5월 (31)
  • 2019년 4월 (31)
  • 2019년 3월 (32)
  • 2019년 2월 (28)
  • 2019년 1월 (31)
  • 2018년 12월 (28)
  • 2018년 11월 (30)
  • 2018년 10월 (28)
  • 2018년 9월 (30)
  • 2018년 8월 (30)
  • 2018년 7월 (32)
  • 2018년 6월 (31)
  • 2018년 5월 (31)
  • 2018년 4월 (31)
  • 2018년 3월 (32)
  • 2018년 2월 (33)
  • 2018년 1월 (33)
  • 2017년 12월 (31)
  • 2017년 11월 (30)
  • 2017년 10월 (96)
  • 2017년 9월 (35)
  • 2017년 8월 (37)
  • 2017년 7월 (46)
  • 2017년 6월 (27)
  • 2017년 5월 (27)
  • 2017년 4월 (25)
  • 2017년 3월 (25)
  • 2017년 2월 (28)
  • 2017년 1월 (30)
  • 2016년 12월 (30)
  • 2016년 11월 (29)
  • 2016년 10월 (31)
  • 2016년 9월 (21)
  • 2015년 10월 (7)
  • 2015년 9월 (19)
  • 2015년 8월 (31)
  • 2015년 7월 (5)
  • 2015년 6월 (3)
  • 2015년 5월 (81)
  • 2015년 4월 (78)
PRODUCT NEWS
샌드위치패널 폴딩도어(접도어, folding doors)
샌드위치패널 폴딩도어(접도어,...
스테인리스(스텐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소개(3)
7. 스테인리스(스텐레스)...
QUICK CONTACT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광덕동로 71
031-403-8424 / 031-405-8425
031-403-8425
E-mail : khbkgs1004@naver.com
Copyright © Panel Sole Distributor Co., 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