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열 샌드위치패널 및 외관 시스템의 건물 규정 화재성능 요구 사항(4)
(2) 선형 기반 경로
준수에 대한 또 다른 방법은 승인된 문서 B의 12.6~12.9항의 지침을 충족시키는 것입니다. 단열재/제품 항목 12.7항의 상태를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바닥에서 18m 또는 그 이상인 단열재가 있는 건물의 경우, 외부 벽 구조에 사용된 충전재(가스켓, 실란트 및 그 유사물을 포함하지 않음)는 가연성이 제한되어야합니다.” 또한 12.6, 12.8, 12.9항 및 [표40]은 외벽과 이중벽의 표면에 대한 추가 지침을 제공합니다.
2017년 6월 그렌펠(Grenfel)l에서 일어난 비극적 사건 이후, DCLG는 12.7항의 해석과 관련하여 추가 지침을 발표했습니다. 이 추가 정보는 다음에 나와있습니다.
참고: https://www.bbc.com/news/uk-england-london-40272168
비가연성 및 제한된 가연성은 모두 소규모의 시험실 시험(bench-scale tests)으로 결정됩니다. 아래 표의 사진은 이러한 검사의 실험실 특성을 보여줍니다. 전체 벽시스템 조립 안에서 재료를 시험하는 BS 8414와 달리 작은 샘플을 개별적으로 시험합니다.
[BS 476 Part 4와 11에서 분리하여 시험한 재료 샘플의 크기]
[“불연성” 및 제한된 가연성을 결정하는 소규모 시험실 시험]
선형 기반 경로는 외관시스템의 모든 구성 요소가 심각한 화재 하중 아래에서 서로 상호 작용하여 화재 확산 특성 및 외관의 구조적 무결성을 결정하는 방법을 시험하지 못한다는 것에 주목해야합니다. 이 규정 준수에 대한 방법은 접착제, 바인더 내용물, 가스켓, 페인트, 테이프, 방수막 및 브래킷의 열 손상과 같은 화재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더 많은 시험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다는 사실을 무시하고, 단열재 및 외부 외장재의 소규모 화재시험에 개별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현실적인 화재 하중 조건에서 지지 브래킷의 열 손상은 외장재의 구조적 결함을 초래할 수 있으며, 화재 장벽과 함께 건물에서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미네랄섬유와 PIR(경질우레탄폼단열재)로 구성된 외관시스템이 2017년 DCLG의 건물 연구기관이 실시한 BS 8414 시험에서 실패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은 화재 성능이 흑백 문제가 아님을 보여줍니다.
참고: 시험7과 관련하여, 2가지 BS 8414 시험이 ACM 사이의 작은 틈을 갖는 재료 조합을 포함하여 수행되었으며, BR 135의 기준을 충족하였습니다.